본문 바로가기

영화

[영화리뷰] 사냥의 시간 Time to Hunt

 얼마 전 '사냥의 시간'이란 검색어가 네이버에 계속 떠서 무언가 해서 찾아봤더니 넷플릭스 영화였다. 무슨 이중 계약? 사건 관련해서도 기사가 뜨던데 그건 그렇게 관심 있게 보진 않았다. 무슨 이유로 이렇게 이슈가 되었는진 모르겠지만 사람들이 많이들 보길래 나도 한번 보게 되었다. 코로나 때문에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한국 영화들도 조금씩 보게 되는 것 같다. '사냥의 시간'을 보게 된 게 코로나 덕분인지, 코로나 탓인지는 영화를 본 사람들은 무슨 말인지 알겠지.

영화 '사냥의 시간'

 젊은 실력파 배우들이 대거 출연한 이 영화는 범죄/스릴러 장르이다. 윤성현 감독의 작품으로 과거 영화 '파수꾼'에서 같이 호흡을 맞췄던 배우들(이제훈, 박정민, 조성하 등)과 또 한번 호흡을 맞춘 영화이다. 영화를 보기 전 이 영화가 볼 만한 영화인지 확인하기 좋은 방법 중 하나는 감독의 필모그래피를 보는 것이다. 윤성현 감독의 이전 작품들을 보면 꽤 나쁘지가 않다. 단편영화로 실력을 꾸준히 쌓아왔고 영화 '파수꾼'은 평이 상당히 좋은 편이다. 이런 감독의 작품 완성도가 굉장히 낮은 이유가 뭘까 생각해보니 '공동제작'이라는 단어가 눈에 들어온다. 역시나 옛말에 틀린 말 하나 없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가게 되어있다.

영화 '사냥의 시간' 디스토피아적 시대 배경
영화 '사냥의 시간'
영화 '사냥의 시간' 초반부 연출이 나쁘지 않다

 영화의 초반은 상당히 흥미롭게 시청했다. 디스토피아적 시대 배경도 마음에 들었고 연출 또한 나쁘지 않았다. 젊은 친구들이 모여서 희망 없는 나라를 뜨기 위해 거하게 한탕 벌이는 스토리는 조금 뻔하다고 할 수도 있었지만 그 뒤가 어떻게 될지 궁금하도록 전개나 연출을 잘한 듯 보였다. 그렇게 잘 보고 있었는데 영화 중반부부터 뭔가 달라졌다. 중반부는 아예 다른 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이었다. 내용 첨삭의 문제인지, 편집의 문제인지 모르겠으나 초반과 후반을 두고 봤을 때 이 영화는 완전 딴판이다.

영화 '사냥의 시간'

 제일 문제라 생각되었던 부분은 개연성이다. 중반부로 접어들면서 영화의 개연성이 뚝 떨어져 버린다. 영화 장르 중 개연성이 필요하지 않은 장르가 있다면 판타지, 코미디 정도를 꼽을 수 있다. 그 외 장르에서는 개연성이 정말 중요하다. 진실이 없는 이야기에 신뢰가 가지 않듯, 개연성이 없어진 이야기에는 흥미가 가지 않는다. 킬러가 주인공들을 쫓고, 놓아주고, 다시 쫓고, 명분 없는 추격전을 재밌게 볼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

영화 '사냥의 시간' 초반의 킬러는 분명 임팩트 있었다
영화 '사냥의 시간' 이 장면, 내가 수정하고 싶다

 초반에 굉장히 임팩트 있게 등장한 킬러가 후반부에는 바보가 되어버리는 느낌이었다. 영화를 보다 보니 킬러와 이제훈의 외모가 조금 비슷한 느낌이 있었는데 그런 점을 이용해서 각본을 썼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도 남았다. 영화 속 이제훈은 부모가 없는 설정이었는데 킬러와 이제훈이 핏줄이라던가, 형제라던가. 이것 또한 진부한 느낌은 있다만 이런 조그마한 부분의 추가가 영화의 개연성은 살려주지 않았을까. 그리고 영화의 엔딩에선 마치 속편을 예고하는 듯이 마무리되는데 이런 부분에서도 조금 더 부드럽게 이어질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영화 '사냥의 시간' 엔딩 장면

 혹시 모른다. 속편은 정말 환골탈태하여 훌륭한 작품이 나올지도. 속편이 제작된다면 제발 공동 제작은 안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좋은 배우들을 두고 너무도 아쉬운 완성도를 보여준 작품이었다. 그래도 네 명의 젊은 배우들이 보여주는 연기는 이후 작품들을 기대하게끔 만들기에 충분했다고 생각된다. 넷플릭스 영화들을 보고 재밌었던 기억이 1도 없다. 앞으로 넷플릭스 영화는 보지 않게 될 것 같다.